국전특선작가 청하화백 작품 극락정토도 수월관음도 한복미인도 靑趙音畵映像坊

國際文化藝術/주택 interior

[ 人生의 先知識이 傳하는 말씀 ] 이 세상을 가장 보람있게 잘사는 방법 ①주택 이야기

Platonic love 2020. 4. 24. 21:00


[ 人生의 先知識이 傳하는 말씀 ] 이 세상을 가장 보람있게 잘사는 방법 ①주택 이야기


 

인테리어에 가장 잘 어울리는 고급스러운 그림  

고풍스러운 한국의 미(韓國 美)를 자랑하는 품격높은 전통미술(傳通美術) 청하화백의 한복미인도

《 청하화백 1970 국전특선 최우수작품 "역사의 향기속으로"의 작가 》



~~~~~~~~~~ ( 예전에 연설했던 연설문 중간부분 ) ~~~~~~~~~~


비싼 돈 수억 수십억들여 아무리 평수가 넓어도 여럿이 사는 아파트에 그중에도 고작 한층 한칸에서 위층에

사는 세대들이나 아래층에 사는 세대들 사이 층에 끼어 게다가 옆 가구 세대들의 눈치를 보며 기도 못펴고 

쫄아서 사는것보다는 차라리 아주 작은 한칸짜리라도 내집에서 사는것이야말로 바로~~ 제왕같은 기분으로 단독주택에서 사는게 보람있는 삶입니다


※ 정치성이 아니므로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표시부분을   자막가림처리식으로 글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뭘 더불어 삽니까? 누굴 위해서 갖고 있는 전재산 돈을 다 들여서 기껏 장만했다는게 고작 여러 세대들 틈에 끼어서 함께 콩나물시루처럼 한 건물 아파트속에 갇혀서 남의 눈치보며 발자국소리도 제대로 못내고 주변 세대들의 눈치나 보며 여러 가구들과 한 아파트속에서 같이 살라구요? 차라리 아주 작은 오막살이라도 독채인 단독주택 내집에서 내 사랑하는 식구와 오붓하게 제왕 기분내면서 사는게 진짜 사는 식입니다~~ 


~~~~~~~~~~ ( 예전에 연설했던 연설문 이하 중략 ) ~~~~~~~~~~



1987년도에 국민연금공단을 방문하여 국민연금을 장려하는 사회 지도층의 스님으로 연설을 한적이 있슴 


 

그 당시만 해도 많은 국민들이 국민연금에 대해 이해들을 잘못하고 반대들을 하던 시기였다

국민연금공단을 방문한 당시 관음정사 본래암 용천사 연화사 대각사를 비롯한 각사찰을 직접 창건한 

총주지 조원각큰스님(연예계이름 청하조훈)님이 당시 공단에서 모인 대중들앞에서 깜짝연설을 노후를 

위해 반드시 국민연금을 들어야한다고 국민연금필요성을 연설을 해서 많은 박수를 받은 기록을 세움


 



 

인테리어에 가장 잘 어울리는 고급스러운 그림  

고풍스러운 한국의 미(韓國 美)를 자랑하는 품격높은 전통미술(傳通美術) 청하화백의 한복미인도

《 청하화백 1970 국전 대한민국 덕수궁미술전 특선 최우수작품 "역사의 향기속으로"의 작가 》







(1번 그림) 美人器樂演嬉圖 (原題 : 歷史中 香氣內) 部分圖     (2번 그림) 端娥美人讀書圖  夏(여름)                        




다음은 한국보다 중국에서 더 유명한 화가 청하화백의 작품 열녀도 연필 초본화 뎃상과 완성된 수묵화


 

         뎃상 연필 초본화                                     수묵화     



청조화백님이 손을 대기만 하면 한장의 사진이 곧바로 생명력이 생성되어 탄생됩니다

지금 여기 보이는 아름다운 고풍 여인의 사진을 이 아래에서 바로 움직이게 하겠습니다~



레디 액션 큐~ !! 바로 5분도 안걸려서 이 아름다운 여인이 살아났습니다~



ⓒKBA kookboartland - CCTV - C W H


http://blog.daum.net/happy102056



조피리는 청하조훈화백님의 하모니카를 비롯 풀룻음색 키보드 악기 연주시 사용하던 닉네임입니다


~~~~~~~~~~ 청하조훈과 함께 조피리 이름 저작권도 발효 ~~~~~~~~~~






< 저작권자 KBA ⓚ 國寶美術 ⓒ 靑夏院 > 

 

 

 

< 본 페이지 이미지 사진 자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ttp://cafe.daum.net/kbartisthappy  ⓒhttp://blog.daum.net/happy102056

< 著作權者 ⓒ KBA kookboartland ⓚ 國寶美術硏究所 >